너 왜 사니?

“너 왜 사니?” 그것이 벌써 10년도 넘은 일이다. 어리벙벙하던 의예과 1학년 초에 나의 학우가 어느 날 갑자기 강의시간에 나에게 이런 질문을 던진 것은. 특별히 친한 친구도 아니었고 친해질 기회도 아직 없었다. 헌데 느닷없이 나에게 이런 질문을 던진 것이다. 나는 참으로 어안이 벙벙하였지만 그런 질문에 대답할 말이 없는 나 자신이 순간 한심하게 느껴졌다. “너는 왜 산다고 생각하냐고?” 그가 대답을 재촉하였다. 나는 정말로 대답할 말이 궁했다. “죽지 못해서 살지, 뭐…” 나의 맥없는 목소리였다. 그러자 그는 무척 경멸스런 눈으로 나를 쳐다보더니 한심스럽다는 투로 내뱉었다. “아니, 네가 왜 사는 지도 모르고 산단 말야? 죽지 못해서 산다는 게 말이 되니? 너 정말 엄청난 패배주의 속에서

나의 데뷔 시절 (1)

시간이란 물 흐르듯이 마디없이 매끄럽게 흘러가는 것이지만 사람들은 그렇게 흘러만 가는 시간에 억지로 금을 긋고 한 시절의 끝과 새로운 시절의 시작을 이야기하면서 그것들을 축하하기도 하고 아쉬워하기도 한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면허 시험에 합격한다고 갑자기 어느 순간에 어리어리하던 의과대학생이 유능하고 빠릿빠릿한 의사로 둔갑할 수는 없다. 어느 환자나 경험이 풍부하고 연륜이 있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기를 원하겠지만 불행하게도 그것은 항상 가능한 일은 아니다. 세상에 초보운전을 거치지 않고 능숙한 운전자가 되는 사람이 어디 있단 말인가? 의사가 되겠다는 어리석은(?) 꿈을 안고 막 임상에 나선 햇병아리 의사에게는 스스로조차도 자신감이 없으면서도 환자를 안심시켜야하고 신뢰를 줄 수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 크나큰 짐이 된다. 그런 부담이 크면 클수록 어이없는 실수가

그들은 나를 살인자라 불렀다

의사로서 내가 일해온 경험이 결코 길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남아있는 기억들을 추스려 보면 참으로 많은 일들이 일어났었고 그 중에는 대수롭지 않게 잊혀질 일들도 있고 평생토록 결코 잊을 수 없는 일들도 있다. 나의 기억 속에는 즐거웠던 기억도 있지만 쓰라린 기억과 다시는 생각조차 하기 싫은 끔찍한 기억들도 남아 있다. 아니, 오히려 고통스럽고 괴로왔던 일들이 더욱 더 선명하게 남아있는 것은 어쩐 일인지. 이제 나는 내가 만 4년 동안의 의사라는 직업의 경험 중 가장 어처구니없고, 가슴 아프고 괴로왔으며 생각조차 하고싶지 않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마도 절대로 잊혀지지 않을 그런 기억에 관해 이야기하려고 한다. 왜 내가 나에게 의사라는 직업에 대한 환멸을 철저하게 맛보게 해준 이런 진절머리나는

약혼기

사람들은 왜 결혼을 할까? 백 사람에게 물어보면 백 가지 대답이 나오지 않으려나 모르겠다. 애 낳아가지고 대를 잇기 위해 한다고도 말할 것이며, 둘이 따로따로 사는 것보다 같이 사는게 생활비가 덜 드니까 그렇다고도 할 것이고, 매일 밤 만나고나서 집에 바래다주기 귀찮아서라고도 그럴 것이며, 그저 “에이! 나 결혼할래! 왜냐하면, 피곤하니까!”라고 그럴지도 모르며, 그냥 좋으니까, 사랑하니까, 떨어져 있기 싫으니까, 부모님과 친지의 권유로, 신문과 잡지의 광고를 보고, 외판원의 권유로, 정략 결혼의 희생양으로, 밥 해먹기 싫어서, 심심해서 등등 참으로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내가 뭔 소릴 하고 있는 거여?) 사랑이란 건 또 뭘까? 어떤 이는 그런 질문을 사랑을 모르는 사람이나 하는 것이라고 할 것이며 (당연한 얘기

제 정신 아닌 사람이 쓴 정신 나간 사람 이야기

제목을 이렇게 붙혀놓고 보니 백일장란에서 재미있게 읽었던 조태현님의 ‘정신 나간 여자와 제 정신이 아닌 여자’라는 글이 얼핏 생각이 나는데 이 글은 그 글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 제 정신이 아닌 사람이나 정신 나간 사람이 세상에 어디 한 둘이던가? 의과 대학에서의 생활이란 단조로운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계속적으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 나가야 한다. 1, 2학년 때의 기초 의학 과정과 그 이후의 임상 실습의 과정이란 참으로 큰 차이가 있다. 그 차이는 – 물론 당연한 이야기지만 – 임상에서는 환자를 직접 본다는 것이다. 환자와의 접촉을 통해서 필요한 정보를 얻어내고, 그것을 올바르게 해석하는 능력이야말로 임상 의학의 기본이라 할 것이다. 환자가 좀처럼 협조를 안해준다는 의미에서 소아과는 수의사와 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