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ic
-
그대 미친 다이어몬드, 빛나라! Pink Floyd – ‘Wish You Were Here’ (1975)
Roger Waters, vocals, bass David Gilmour, vocals, guitar Richard Wright, keyboard, vocals Nick Mason, drums https://youtu.be/tiF-q2h7tSA Pink Floyd – Wish You Were Here – Pulse Live Pink Floyd (이하 PF)의 화려한 후기 discography 중에서도 누구나 불후의 명반으로 꼽는 데 주저함이 없을 ‘Dark Side of the Moon’ (1973)과 엄청난 상업적 성공을 거둔 문제작 ‘The Wall’ (1979)이라는 거대한 두 봉우리 사이에는 바로 이 ‘Wish You Were Here’라는 보석같이 빛나는 또 하나의 명반이 자리한다. 적지 않은 PF 광들은 이들의 후기 작품들 중 ‘Wish You Were Here’야 말로 진정 이들의 진수를 보여주는 명반으로 높히 추켜올린다. 왜 그럴까? PF의 주도권을 완전 장악한 Roger Waters의 촌철살인의 가사들은 여전하고, 완벽한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는 Richard Wright의 건반, ‘절대로…
-
Rock’n’roll ain’t noise pollution: AC/DC – ‘Back in Black’ (1980)
Angus Young, guitar Malcolm Young, guitar Brian Johnson, vocal Cliff Williams, bass Phil Rudd, drums 필자는 미식가라고 할 수 없음은 물론이요, 그다지 예민한 미각을 가졌다고도 할 수없는 처지이지만, 와인 애호가들은 원산지에 따라서, 연도에 따라서 그 맛을 갈래갈래찢어서 묘사하고 구별해내곤 한다. 음식이 상했는지 어떤지도 잘 모르는 형편없는미각의 소유자인 필자로서는 감히 꿈꿀 수도 없는 경지일 것이다. 그러나, 이십 여년간의 오랜(?) 락음악 청취 경험을 통해, 귀도 그다지 날카롭다고도 하기 힘든 필자이지만 드디어 British rock과 American rock이 어떻게 맛이 다른가 하는정도는 무어라 무어라 지껄일 정도의 알량한 경지에 이르렀다고 자부하는 바, 그 소위’경지’라고 하는 것의 가소로움에 대해 고수님들이 그저 그러려니 양해해주신다면, 오늘은 이 호주산 락음악의 색다른 맛에 대해 몇마디 해보고자 한다. 60년대 말에서 70년대…
-
우리에게도 위대한 락 밴드가 있었다: 산울림, ‘제2집’ (1978)
김창완 vocal, guitar 김창훈 vocal, bass 김창익 drums ‘내마음에 주단을 깔고’ 1996 년 영상. 이 때도 이미 이 노래가 세상에 나온지 2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을 때인데… 이때부터 또 세월이 흘러흘러… 이제 젊은 세대는 김창완을 배우로 알고 있고, 그가 락커였다는 것을 기억하고 있는 나는 그냥 아재도 아닌 ‘상 아재’ 인증을 피할 길이 없다. 수도 없이 많은 세상의 락밴드 중에는 그저 그렇고 그런 연주와 노래로 누가 누구인지 알기 힘든 밴드가 있는가 하면, 한번 들어본 일 없는 곡의 잠깐의 전주만 듣고도, ‘아, 이거!’하면서 누구의 연주인지 알게 될 정도의 개성을 지닌 밴드도 있다. 한국에도 락이 있는가? 한국에도 그런 특출난 개성으로 일가를 이룬 내세울만한 락 밴드가 있는가? 라고 질문을 한다면 필자는 자신있게 그렇다고 답할 수…
-
[Music] Queen – ‘Live Killers’ (1979)
Freddie Mercury (vocals, keyboards) Brian May (guitars, vocals) John Deacon (bass) Roger Taylor (drums, vocals) 세상에는 밤하늘의 별 만큼이나 다양한 종류의 음악들이 있고, 사람들의 취향이라는 것도 그만큼 가지 각색이어서, 자기가 즐겨듣지 않는 종류의 음악이라고 해서 무시하고 깔아뭉개는 것은 참으로 어리석은 짓이다. 그러나, 참으로 불행한 일이지만 허접스럽고 싸구려인 일회용 음악은 분명 있다. 필자가 팝송을 듣기 시작할 적에 ‘징기스칸’이라는 유럽 그룹의 ‘징기스칸’이라는 노래가 무지하게 유행을 하였다. 철없는 필자도 물론 이를 듣고 아주 좋아하였지만, 지금 생각하니 참으로 유치찬란한 음악이었다. 물론 유치함으로 한술 더 뜨다 못해 거의 코메디인 것은 ‘우리 나라를 침략한 징기스칸을 미화했다’면서 금지곡을 때려버린 당국의 조치이지만 말이다. 세상에는 분명 아이스 케키 처럼 그저 홀랑 먹고 나면 막대기하고 비닐 껍질, 즉 쓰레기 밖에…
-
오빠부대의 전설: Cheap Trick – Live at Budokan (1979)
Rick Nielsen (guitar, vocal) Robin Zander (vocal, guitar) Tom Petersson (bass, vocal) Bun E. Carlos (drums) 일본 부도깡은 전설의 라이브 앨범, Deep Purple의 ‘Made in Japan'(1972)을 일찌기 탄생시킨 산실이기도 하다. 그 유서깊은 현장에서 수상쩍은 이름을 가진 그룹 사운드 , Cheap Trick은 70년대를 마감하는 또 하나의 명연을 펼치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이 ‘Live at Budokan’인 것이다. 이들의 음악을 뭐라고 불러야 할까? 필자는 지금까지 주로 심각하고 잔뜩 어깨에 각잡는 음악들을 읊어대면서 덩달아 폼을 잡았지만, 이들의 음악만큼은 별달리 심오하다던가, 영혼이 담겨있다던가, 심금을 울린다던가 할 것은 전혀 없다고 장담할 수 있다. 그저 단순하고 신나고 듣기 좋은 팝-락이라고 이야기하면 정확할 것이다. 그룹의 이름 그대로, 싸구려 얄팍한 수작, ‘Cheap Trick’인 것이다. 그러나, 싸구려 버블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