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끈다랑쉬오름’에서

필자가 한달 동안 제주도에 파견 근무를 가게 되었다는 데 대한 주위의 반응은 두 가지였는데, 한가지는 일부 소수 의견으로, 참 여기 저기 많이도 돌아다니네, 역마살이 끼었나, 고생되겠다 하는 것이었고, 나머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햐, 좋겠다 하는 것이었다.

진실은 항상 두 극단 사이의 어딘가에 있기 마련이다. 필자가 그저 제주도에서 무위도식하면서 한달 동안 논다면야 그 이상의 환상적인 상황이 없겠지만 불행히도 그건 전혀 아니었고 병원에서 일한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었다. 사우디에 돈벌러 가는 것과 비슷하지 않냐고 하는 사람도 있었는데, 물론 Y가 같이 간다는 차이점은 있었다. (나머지 상황은 다소 비슷하다고 볼 수도…) 그렇지만 서울을 떠날 때의 필자의 기분은 비교적 가벼운 것이었는데, 그것은 2월말에 이유 없이 뻑뻑한 스케쥴에 지친 나머지 제주도에 가서 어찌되건 그건 나중 문제이고 일단 떠나버리고 싶은 심정이었기 때문이다. 일이 이상스럽게 밀렸을 뿐 아니라 왜 그렇게 술 먹자고 하는 사람들이 많은지 조금은 지친 상태였다.


제주도에 도착하여 (Y는 며칠 늦게 올 예정이었다.) 병원 측에서 제공한 관사에 짐을 내려 놓고 보니 참으로 한심한 몰골이었다. 필자는 결혼한지 4년이 되어가는데 이미 이사를 세 번이나 하였으니 아무 것도 없는 썰렁한 집에 들어가서 새로 시작하는 일이 익숙(? 좀 어폐가 있는 듯 하다)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이건 그저 썰렁한 정도가 아니라 조금 더 심한 상황이었다.

전임자의 행적이 선사 시대 유물처럼 여기저기 그대로 남아 있는데, 있는 그대로 다 묘사하면 그에게 좀 누가 될지도 모르겠다. 하여간에 세면대고 욕조고 간에 화장실을 전혀 사용하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았고 신다가 버리고 간 양말이 방바닥에 좍 깔려 있었다. 필자도 무척 게으르고 어지르고 사는 편이지만 양말은 좀 심했다. 주섬주섬 줏어모아 담아보니 한 봉지 가득이었다. 군대에 처음 가서 훈련받을 적에 빨래하기가 싫어서 팬티와 양말을 1회용(?)으로 쓰고 버렸던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럭저럭 며칠 지내는 동안 감기 몸살이 들어버렸는데, 낑낑 앓느라고 주말을 완전히 날려버렸다. 전편을 읽으신 분께서는 아시겠지만 Y는 출산 예정일이 멀지 않은 터라 몸이 제법 무겁다. 그런 것치고는 무척 늠름한 편이어서 비행기 타는데도 적발(?)되지 않고 무사히 타고 왔노라고 자랑하는 정도였다. 헌데 이 먼 제주까지 불원천리 와서 보니 남편이라는 작자는 몸살이 들렸다고 이불 쓰고 드러누어 있으니 한심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렇다고 다른 할 일이 있는 것도 아니고, 놀러 나가지도 못하고, 그저 꼼짝없이 같이 방구들 신세가 되어서 병간호를 하고 있으니 매우 우울한 노릇이었다.

한 번 재미나게 다녀보자고 만만치 않은 돈을 들여 끌고 온 (물론 직접 끌고 온 것은 아니다. 배편에 부쳤음.) 자가용은 주차장에서 그냥 썩고 있었다. 고작 한 달 있을 것인데 차까지 끌고 온 것은 놀러 다닐 적에 최소한 렌트카 비용은 빠지지 않을까 하는 계산이었던 것인데, 주말을 허송세월한 것이었다.


제주도의 3월 날씨란 참으로 험악하다. 이틀이나 사흘에 한번 꼴로 비가 올 뿐 아니라 비오는 날은 물론이고 맑은 날도 바람만은 엄청나게 부는 것이었다. 이런 사실은 관광 삼아 제주도에 왔을 때는 전혀 몰랐던 것이다. 그래도 우리는 그런 날씨 속에서도 전에 가보지 못했던 곳을 가보기로 하였다.

필자는 제주에서 한 달을 살면서 관광하러 며칠 들렀을 때와는 다른 제주의 여러 면모를 보았다. 황량한 중산간 지역의 특이한 풍광이라든지 처음 가본 우도의 산호 해변과 같은 아름다운 경치, 차를 몰고 가면 앞으로도 뒤로도 차 한 대 안 보이는 한적한 길, 해안도로 등과 같은 것은 우리 나라 어디를 가도 보기 힘든 것이다.

제주도는 섬 전체가 관광지이고 가볼 곳도 많지만 여러 번 왔었던 터라 잘 알려진 관광지는 거진 한번씩 들러 본 터였다. 그래서 관광 삼아 잠깐 와서는 가기 힘든 곳을 가보고 싶었던 것이었고 ‘오름’에 한번 올라보리라 생각하게 되었다. 오름이란 기생화산을 말하는데, 제주도 아니면 우리 나라 어딜 가도 볼 수 없는 독특한 지형이다. 제주도에는 수백 개의 오름이 있는데 아담한 동산 정도의 규모인 것에서부터 산이라고 할만한 것까지 크기도 다양하고 모양도 가지각색이다. 수많은 오름 중에서 어딜 오를 것인가. 하지만 Y의 몸이 무거운지라 본격적인 등산은 무리였다. 책을 보고 연구를 한 끝에 ‘다랑쉬 오름’을 골라내었다. 오름이란 것이 어느 정도의 규모인지 전혀 감이 없는 탓에 과연 올라갈 만 한 것인지 알 수가 없었는데, ‘다랑쉬 오름’은 그 옆에 그 축소판인 ‘아끈다랑쉬 오름’을 거느리고 있어 사정이 여의치 않으면 거기라도 오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계산이었다.


오름이라는 것이 개발된 관광지는 아니어서 아무 표지판이 없다. 멀리서 보고는 저것이 다랑쉬 오름이려니 하고 책에 나와 있는 대로 길을 찾아 들어가니 그 앞에까지 도달하게 되었는데, 도대체 어디가 올라가는 길인지 알 수가 없다. 주변에는 길을 물어볼 사람은커녕 인가도 없고 개미 새끼 하나 얼씬 않는 황량한 분위기인데 가까이 가서 보니 제법 가파르고 높은 것이 배부른 Y와 올라가리라고 생각했던 것이 얼마나 황당한 생각이었는지 깨닫게 되었다. 게다가 날씨는 어둑어둑 흐리고 가끔 빗방울도 떨어지는 것이 분위기가 심상치 않았다. 그렇다고 예까지 왔다가 그냥 돌아갈 수야 있나. 더 이상 생각할 것도 바로 옆에 있는 ‘아끈다랑쉬 오름’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아끈’ 은 ‘버금’이라는 뜻의 제주도 말이라고 한다. 다랑쉬 오름과 비슷하게 생긴 모양으로 바로 옆에 있는데 자그마한 동산 정도의 아담한 오름이다. 조금 떨어져서 보니 도대체 어디로 올라가야 하는지 알 수가 없어 난감했는데, 가까이 가서 보니 수풀 사이로 작은 길이 나 있었다. 조심조심 걸어올라 정상(? 이라고 말하기는 좀 쑥쓰러운 정도)에 오르니 갑자기 시야가 확 트이면서 풀밭이 펼쳐지는데 축구장 정도 크기의 움푹 파인 분화구였다.

주위를 둘러보니 여기 저기 오름들이 보이고, 놀라운 것은 주변을 아무리 둘러보아도 사람이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이었다. 물론 사람의 흔적은 있었다. 닦아 놓은 길이며 돌담은 보이지만 인가도 보이지 않고 사람의 그림자도 찾을 수 없었다. 그러고 생각해 보니 이렇게 인적이 드문 곳에 와 본 것이 언제인가 싶은 생각이 드는 것이었다. 화성에라도 착륙한 듯한 묘한 기분이었다.

분화구의 가장자리로 걸어 올라가자 갑자기 분위기가 돌변하였다. 분화구 안과는 전혀 딴 판이었는데, 거의 몸이 날아갈 정도의 강풍이 몰아치고 있었다. 한 10 미터 정도 걸어 올라왔는데 이렇게 차이가 나다니! 빨리 내려가려고 하는데 그 상황에서도 Y는 2인분이라서 안 날아간다고 하면서 (입만 살아 가지고!) 일단 사진을 찍어야만 한다고 주장하는 바람에 덜덜 떨면서 겨우 사진을 찍었다. 제주의 북동부 오름 지대의 경치는 참으로 멋진 것이어서 배경으로 사진 한 장 찍는데 그 정도의 대가는 지불할 만한 것이었다.


우리들이 평소에 얼마나 좁은 곳에서 사람들에 시달리고 부대끼면서 사는지…. 사람이 눈에 띄지 않는 외진 곳에 간다는 것은 참으로 색다른 경험이다. 해방감과 자유로움이 느껴지기도 하고 사람들로 북적대는 곳이 그리워지기도 한다. 하지만 후자의 감정보다는 전자의 감정이 훨씬 강렬한 걸 보면 우리는 너무나 인구밀도가 높은 곳에서 살고 있음에 틀림이 없나보다.

제주도에서 돌아온 지 한참 되었지만 아직도 그 인상은 선명하다. 아름다운 바닷가도 좋지만, 꼭 다시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곳은 오름들이 삐죽삐죽 솟아오른 제주도 북동부의 그 황량한 벌판이다. 필자는 그 장엄한 황량함이 있기에 제주도가 아름답다고 생각한다. ‘아끈다랑쉬 오름’에 오르고서 오름에 올라 봤다고 한다면 내막을 아는 사람은 엄청 비웃겠지만 그건 사정이 그래서 할 수 없었던 일이었고, 언젠가 다시 기회가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해본다.


1999. 5. 27.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