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n Williams – Richard Harvey 공연 – 음악과 함께 세계일주하다

프로그램

G.F. HANDEL —- Sonata in F
RICHARD HARVEY —- Gothic Suite (Medieval European)
FREDERIC HAND —- Prayer
THURLOUGH O’CAROLAN —– O’Carolan Suite

South American set:
PEDRO ELIAS GUTIERREZ —– Alma Llanera
ASTOR PIAZZOLA —– Café 1930

RICHARD HARVEY —– Suling Bandung

Chinese pieces:
TRAD. CHINESE (arr. RICHARD HARVEY) —– Huija 18 beats

African set:
FRANCIS BEBEY —– Engome
RALANTO —– Omby

RICHARD HARVEY —– Enfield Dances

공연 시작 시간에 겨우 맞추어 가는 바람에 프로그램도 없이 헐레벌떡 뛰어서 들어갔습니다. 무대에 보니 각종 악기들을 ‘한 상 가득’ 차려 놓았더군요. 흠… 저걸 다 연주하겠단 말이지… 리차드 하베이란 음악인에 대해선 잘은 모르고 있었지만, 최고의 기타리스트로서 이런 저런 다양한 크로스 오버의 시도를 해온 존 윌리엄스가 파트너로 선택했다는 사실만으로도 그의 내공은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겠지요. 그래서 만족스런 공연이 될 것이라고 믿고 있었지만, 다만 한가지 기타리스트로서의 존 윌리엄스의 모습을 만끽할 수 있는 자리가 되지는 못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은 있었습니다.

첫 곡인 헨델의 소나타를 기타와 리코더의 듀엣으로 연주해주었는데, 멋진 하모니이지만, 저의 불안감이 현실로 드러나는 것이었습니다. 음악은 매우 아름다웠지만, 이 공연은 애당초 ‘기타리스트로서의’ 존 윌리엄스를 보여주기 위한 공연은 아니었다는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두툼한 음색, 안정적이면서 절제된 담백함, 웅대한 건축물을 보는 듯한 굳건함과 강력한 힘이 느껴지는 거장다운 연주, 클래식 기타의 거의 전 분야의 레파토리를 섭렵한 ‘올마이티’의 레코딩들… 존 윌리엄스는 현존하는 기타리스트들 중에서도 그저 일류급이라는 수식어만으로는 부족한, 몇 안 되는 ‘지존급’ 기타리스트 중 하나로 인정해 마땅한 사람입니다.

그러나, 그는 아무래도 그저 기타리스트로만 남는 것에 만족하지 않는 모양이지요. 그 가장 극단적인 예가 프로그레시브 락 계열 뮤지션들과 어우러진 크로스오버 락 밴드 ‘Sky’ 에 참여한 일일 것입니다. 호불호가 갈리기는 합니다만, 저 개인적으로는 Sky의 음악은 매우 매력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밖에도 다양한 다른 분야의 음악인들과 어울려서 만들어낸 프로젝트들이 꽤 되지요. 아프리카 음악인들과의 협연도 있구요. 소위 ‘월드 뮤직’ (참 맘에 안 드는 말인데 많이 쓰이더군요.)에 대한 관심이 리차드 하베이와 같은 음악인과의 파트너쉽으로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두번째 Gothic Suite 라는 곡은 (조곡인데 익숙치 않은 곡이어서 그런지 관객들이 중간 중간에 계속 박수를 쳐주더군요. 뭐… 그냥 그러려니 해야겠죠. ^^) 프로그램이 없어 제목 모르는 상태에서 들으면서는 이건 인도 내지는… 서남아시아 계열의 음악 같은 느낌을 주었는데 제목이 ‘고딕’ 이라는 건… 글쎄, 저의 내공으론 잘 이해가… -_-;;;;

상에 차려져 있는 이런 저런 피리 (뭐 다 다르겠지만, 각각의 이름은 전혀 모르겠습니다.)를 골라가면서 연주를 했습니다. 하베이는 공연 내내, 클라리넷과 7-8가지의 리코더 종류, 두세가지의 오카리나, 서너가지의 팬 플륫, 핸드 드럼, 만돌린, 우크렐레, 크로마 하프(맞는지 자신 없음?), 엄지 손가락 피아노 (아프리카 악기로 소리는 무척 낮익은 데 처음 봤습니다. 양 엄지로 연주합니다. 이름을 얘기해 주었는데 못 알아들었고, 연주하는 모습은 핸드폰 문자 보내는 장면을 연상케합니다.) 등의 거의 스무가지 악기를 돌아가면서 연주했습니다. 대단한 내공의 음악인입니다.

프레드릭 한트 (발음이 맞나요?)의 곡 ‘Prayer’는 기타와 클라리넷의 듀엣. 매우 인상깊도록 아름답고 감동적이고, 제목처럼 경건한 멜로디의 곡이었습니다. 두 사람의 하모니에 마구마구 빠져듭니다.

오늘 공연의 키워드는 ‘다문화성’, 뭐 저도 잘 모르는 꼬부랑말로는 ‘multi-culture’ 내지는 ‘multi-ethnicity’ 뭐 그런 거가 될까요? 음악으로 하는 세계일주입니다. 이번엔 아일랜드로 옮겨갑니다. 아일랜드 풍의 민요 선율을 모티프로 했음에 틀림없는 조곡입니다.

인터미션에 페르난도님이 저를 알아봐주셨습니다. 이런 저런 기타 얘기도 나누고… 아… 페르난도님의 손톱 모양을 좀 자세히 구경할 걸 하는 후회가 나중에 들었습니다. 알고 보니 용가아빠님, April 님 등의 실력파 분들이 페르난도님의 동아리 후배시라는군요. ^^

공연 후반부에는 일단 남미로 옮겨갑니다. 피아졸라, 아주 멋집니다. 하베이가 관악기를 위주로 선율을 주로 연주하지만, 윌리엄스도 그냥 ‘반주’라고 하기에는 아까울 정도로 아주 든든하게 뒤를 받쳐줍니다. 윌리엄스는 정열적으로 연주하는 스타일은 분명 아니지만, 알베니스, 그라나도스 등과 같이 열정이 흘러 넘치는 곡을 담백하게 연주하는 것이 나름대로 맛이 있듯이 피아졸라의 탱고도 괜찮더군요. (태클 걸지 마시길… 제가 존 윌리엄스를 워낙 좋아해서요. ^^;;;)

Suling Bandung이란 곡에 대해서 하베이가 한참 설명을 했는데, 결국 정확히 이해를 못했습니다. 그래서 어느 나라 음악이라는 건지… 쩝… -_-;;; 리코더와 팬 플륫으로 번갈아가며 연주하며 야성적인 매력을 느끼게 해주더군요.

중국 음악은 좀 별로라고 느껴졌는데, 프로그램이 없이 곡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이 들으면서 사실 저는 일본 음악이라고 생각을 할 정도였는데… (‘뽕짝’ 필의…) 나중에 보니 중국 음악이네요. 글쎄, 영국인이 동양음악에 대해서 가진 이해의 한계일 지도 모르지요. 아니면 제 귀가 문제인지도.

하베이가 엄지 피아노 등을 연주한 아프리카와 마다가스카르 음악 아주 좋았습니다. 존 윌리엄스는 이미 아프리카 음악과의 크로스 오버를 시도한 적이 있지요. 탐보라 등을 잘 활용하여 원시적인 리듬감이 살아있는 연주를 해주었습니다.

하베이가 ‘세계 여행을 런던에서 마치겠다’ 고 코멘트를 합니다. 정말 브리티쉬한 음악을 연주해주네요. 엘가와 같은 영국의 ‘국민 음악’을 연상케 하는 위풍당당함과, 섬나라 다운 아기자기함이 섞인 아주 좋은 음악이었습니다.
앵콜 곡으로 (한곡만 하겠다는 하베이의 애교 섞인 몸짓…) ‘잉글랜드를 이겨버리지 않은 데 대해서 파라과이에게 감사, 여러분들도 승리를 축하한다’는 월드컵 코멘트와 함께 바리오스 곡입니다. 팬 플륫 선율이 아주 좋습니다.

지존급 기타리스트로서의 존 윌리엄스의 모습을 충분히 보여주지 않았다는 점에서 불만스럽지만, 애당초 공연의 의도가 그것이 아니었으니 뭐라 할 말은 없지요. 그러나 두 사람이 만들어낸 푸짐하게 부페 스타일로 차려 놓은 맛나는 음악들은 포만감을 느끼기에 충분했습니다.

최고의 기타리스트이면서도 그것에 머물지 않고 다른 훌륭한 음악인들과의 어울려 새로운 시도를 계속하는 윌리엄스의 모습, 자기보다는 리처드 하베이라는 또 한명의 초절정 고수가 멋지게 뜨도록 든든하게 받쳐주는 그의 모습은, 좀 생뚱맞은 비교일지는 몰라도, 최고의 스타 플레이어이면서도 자기의 테크닉을 과시하기 보다는 ‘함께 만드는 음악’에 충실한 팀플레이 정신을 실천하는, 그저 ‘기타리스트’에 그치지 않는 진정한 ‘음악인’인 여러 락 기타리스트들을 떠올리게 합니다. (지미 페이지, 에릭 클랩튼, 폴 길버트…) 잠시 ‘위대한 기타리스트’ 존 윌리엄스의 존재감을 잊고 그저 음악의 아름다움에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공연… 그의 또 다른 위대함입니다.

2006. 6. 18.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